메뉴 건너뛰기

공과해설

  • 최석영
  • Jul 04, 2025
  • 4
  • 첨부1

제목 : 하나님께서 기뻐 받으시는 예배 

로마서 12장 1절; 히브리서 12장 28절

 

  우리는 많은 예배를 드리면서 신앙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열심히 드리는 모든 예배를 하나님께서 받아주실까요? 만일 우리가 드린 예배를 하나님께서 기뻐하시지도 않고, 받아주시지도 않으신다면 우리가 하고 있는 신앙생활은 그저 종교 생활에 불과하게 될 것입니다. 이 말씀을 통해 하나님께서 진정으로 원하시는 예배,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예배, 하나님이 열납하시는 예배가 무엇인지를 생각해보고자 합니다. 특히 레위기의 5가지 제사법을 우리가 문자 그대로 지키지는 않지만, 그 안에 내포된 정신을 오늘날 우리가 드리는 예배에 적용하고 복원하고자 합니다.

 

■ 말씀과 삶 나눔 : 레위기에 나타난 5가지 제사법 

  레위기에는 번제, 소제, 화목제, 속죄제, 속건제 등 5가지의 제사의 유형과 구체적으로 제사를 드리는 방법이 자세하게 언급되어 있습니다. 각각의 제사 유형이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길 원합니다. 

 

1. 번제(레위기 1장)

➤ 번제는 가장 중요한 제사로, 제물을 제단 위에 올려놓고 완전히 태워드리는 제사입니다. 이 제사를 위해서는 번제물의 머리에 안수하고, 껍질을 벗기고, 각을 떠야 합니다. 놀라운 사실은 이 모든 일들을 제사를 드리는 본인이 해야 한다는 겁니다. 이 때 제사장은 제단 네 귀퉁이에 피를 뿌리고, 불과 장막을 준비하고, 그 제물을 태워드리는 일을 담당합니다. 번제는 제사장과 제사를 드리는 헌제자가 함께 드리게 되는 제사인 것입니다. 제사드리는 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2. 소제(레위기 2장)

➤ 소제는 유일하게 곡물로 드리는 제사로, 곡물을 빻아 가루로 만들어 불로 태워 드리는 제사입니다. 곡물을 빻으면 어떻게 됩니까? 원형이 사라집니다. 본래 그 곡물이 어떻게 생겼는지 알 수 없게 된다는 것입니다. 또한 소제에는 누룩과 꿀을 섞어서는 안됩니다. 이것은 본래 자신의 모습보다 더 자신을 높이고 부풀어올리는 걸 의미합니다. 소제는 이처럼 나 자신이 사라지는 겸손함을 상징합니다. 또한 소제에는 소금을 넣어야 합니다. 소금은 하나님의 신실한 언약을 기억하고 의지하는 걸 상징하며, 갈급한 마음을 가지게 되는 걸 의미합니다. 

 

3. 화목제(레위기 3장)

➤ 화목제는 하나님께 제사를 드리면 1/3은 하나님께, 1/3은 제사장에게, 그리고 나머지 1/3은 제사를 드린 자에게 돌려집니다. 그리고 돌려 받은 제물은 자원제물인 경우 이틀 만에, 감사제물인 경우 하루 만에 다 먹어야만 합니다. 그 많은 고기를 어떻게 혼자서 이틀 혹은 하루만에 다 먹을 수 있겠습니까? 하나님은 이것을 가지고 이웃들과 가난한 자들과 함께 나누며 하나님 안에서 화합과 교제를 나누시기를 원하시는 것입니다. 

 

4. 속죄제/속건제(레위기 4:1-5:13, 5:14-6:7)

➤ 본래 우리가 죄를 지었다면, 우리가 그 죄값을 치러야 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지은 죄에 따라 우리가 심판을 받아야 한다면 우리는 멸절될 수 밖에 없기에 하나님은 하나님께 지은 죄에 대하여, 그리고 이웃에게 지은 죄에 대하여 보상하고 속죄하게 하십니다. 나의 죄를 위해 죽는 제물을 바라보면 우리의 마음이 어떻겠습니까? 죄에 대한 아픔과 죄송한 마음이 가득할 것입니다. 우리 죄에 대한 아픔과 애통한 마음을 가지고 예배의 자리에 나아와야 한다는 걸 의미합니다. 그리할 때 사죄의 은총과 구원의 기쁨을 안고 삶의 현장으로 돌아가게 될 것입니다. 

 

  이 모든 다섯 가지의 제사의 공통적인 정신은 예배당에서의 시간 뿐만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 전체가 하나님께 예배가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제사를 드리기 위해서는 성막/성전에서의 시간이 아니라, 일상의 자리에서 제사를 준비하고 제사를 위해 마음과 생각을 쏟아야 합니다. 모든 일상이 제사에 포함되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살아있는’ 제물이 되어 매순간의 삶을 예배로 드리는 예배자가 되어야 합니다. 

 

■ 함께 하는 기도 

보는/받는 예배에서 드리는 예배가 되게 하소서(번제의 정신).

자아의 부서짐을 경험하는 예배가 되게 하소서(소제의 정신).

화해와 친교를 동반하는 예배가 되게 하소서(화목제의 정신).

죄에 대해 철저히 자각하는 예배가 되게 하소서(속죄제/속건제의 정신).

일상생활이 예배가 되게 하소서(준비된 제사의 정신).

 
제목 날짜
구역공과 25-13   2025.04.01
구역공과 25-14   2025.04.09
구역공과 25-15   2025.04.14
구역공과 25-16   2025.04.22
구역공과 25-17   2025.04.29
구역공과 25-18   2025.05.06
구역공과 25-19   2025.05.15
구역공과 25-20   2025.05.20
구역공과 25-21   2025.05.28
구역공과 25-22   2025.06.04
구역공과 25-23   2025.06.12
구역공과 25-24   2025.06.19
구역공과 25-25   2025.06.26
구역공과 25-26   2025.07.04